776 |
[JFP-36(1)-177-181-2023] 향어(Cyprinus carpio nudus)의 더모시스티디움 유사 감염 사례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3.12.29 |
150 |
775 |
[JFP-36(1)-171-176-2023] 넙치 치어에서의 바이러스성출혈성 패혈증 감염에 따른 체내 바이러스분포 및 초기면역유전자 발현 비교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3.12.29 |
136 |
774 |
[JFP-36(1)-161-170-2023] 삼종염(Potassium monopersulfate)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독제의 주요 수산 병원체에 대한 살균소독 효과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3.12.29 |
212 |
773 |
[JFP-36(1)-151-159-2023] 양식 뱀장어(Anguilla japonica)에서 florfenicol의 경구투여에 따른 잔류 연구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3.12.29 |
168 |
772 |
[JFP-36(1)-141-150-2023] Amprolium hydrochloride 투여에 따른 넙치 (Paralichthys olivaceus)의 독성 영향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3.12.29 |
118 |
771 |
[JFP-36(1)-133-139-2023] Evaluation of availability of various internal ribosome entry sites (IRESs) for bicistronic expression in different fish cell lines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3.12.29 |
114 |
770 |
[JFP-36(1)-125-132-2023] 제주지역 양식 넙치(Paralichthys olivaceus)를 대상으로 한 스쿠티카증(Scuticociliatosis) 모니터링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3.12.29 |
175 |
769 |
[JFP-36(1)-117-124-2023]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richodina (Ciliophora: Peritrichia) species from cultured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3.06.30 |
290 |
768 |
JFP-36(1)-107-116-2023] 양식 극동산 뱀장어(Anguilla japonica)에서 분리된 Lactococcus lactis의 항생제 내성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3.06.30 |
280 |
767 |
[JFP-36(1)-095-105-2023] 어류병원성 Edwardsiella spp.의 2010년 이전 분리균의 재분류와 특성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3.06.30 |
257 |
766 |
[JFP-36(1)-075-093-2023] Efficacy of dietary propolis and its nanoparticles on immune-response, stress indicators, and preven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ion in Oreochromis niloticus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3.06.30 |
203 |
765 |
[JFP-36(1)-057-073-2023] Identification of the main cause of mortality in a commercial Oreaochromis niloticus farm: The role of poly-β-hydroxybutyrate as a preventive measure against Edwardsiellosis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3.06.30 |
205 |
764 |
[JFP-36(1)-047-055-2023] 소독제에 따른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의 불활화 효과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3.06.30 |
266 |
763 |
[JFP-36(1)-039-046-2023] 넙치 유래 VHSV (Viral haemorrhagic septicemia virus)의 살균방법별 저감효과 연구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3.06.30 |
234 |
762 |
[JFP-36(1)-031-038-2023] 이매패류 소화 효소 및 환경수에서의 WSSV (white spot syndrome virus) 안정성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3.06.30 |
2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