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30 |
[JFP-34(2)-243-248-2021] 돌돔(Oplegnathus fasciatus)에 대한 인위적인 해상풍력발전소 건설소음의 면역학적 영향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1.12.31 |
420 |
729 |
[JFP-34(2)-233-241-2021] 김(Porphyra sp.)에서 추출한 PDRN (polydeoxyribonucleotide)의 나일틸라피아(Oreochromis niloticus)에서의 상처 치유 효과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1.12.31 |
395 |
728 |
[JFP-34(2)-225-231-2021] 바이오플락 환경에서 넙치(Paralichthys olivaceus)의 에드워드병에 대한 항생제 치료 효과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1.12.31 |
463 |
727 |
[JFP-34(2)-213-224-2021] 수온과 저산소에 따른 조피볼락(Sebastes schlegeli)의 호흡대사와 혈액성상의 변화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1.12.31 |
477 |
726 |
[JFP-34(2)-201-212-2021] 수온별 아질산 급성 노출에 따른 넙치, Paralichthys olivaceus의 혈액학적 성상 및 혈장성분의 영향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1.12.31 |
407 |
725 |
[JFP-34(2)-185-199-2021] Prevention of vibriosis in sea bass, Dicentrarchus labrax using ginger nanoparticle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1.12.31 |
376 |
724 |
[JFP-34(2)-177-184-2021] Use of G gene-deleted single-cycle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(VHSV) for delivery of nervous necrosis virus (NNV)-like particles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1.12.31 |
397 |
723 |
[JFP-34(2)-169-176-2021] A comparative study of ectoparasites occurrence between grass carp and silver carp in guilan province culture ponds, Iran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1.12.31 |
356 |
722 |
[JFP-34(2)-161-168-2021] 여윔증상 넙치 및 사육수 내 검출된 점액포자충(Enteromyxum leei and Parvicapsula anisocaudata)의 정량적 분석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1.12.31 |
397 |
721 |
[JFP-34(2)-149-159-2021] Characterization of rock bream (Oplegnathus fasciatus) fin cells and its susceptibility to different genotypes of megalocytiviruses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1.12.31 |
385 |
720 |
[JFP-34(2)-141-147-2021] 수입 냉동새우에서 검출된 WSSV의 유전학적 근연관계 조사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1.12.31 |
412 |
719 |
[JFP-34(2)-133-140-2021] 새로운 betanodavirus 재편성체(reassortant)의 어류 치어에 대한 병원성 분석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1.12.31 |
367 |
718 |
[JFP-34(2)-123-131-2021] 강원도의 연어과 어류에서 분리된 IHNV 분리주의 계통분류 및 병원성 분석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1.12.31 |
372 |
717 |
[JFP-34(1)-117-121-2021] Notochord opacity in fry ayu, Plecoglossus altivelis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1.07.07 |
478 |
716 |
[JFP-34(1)-111-115-2021] 능성어(Epinephelus septemfasciatus) immunoglobulin M에 대한 단클론 항체 생산
첨부파일
|
관리자 |
2021.07.07 |
453 |